[뉴스메이커] '완전 토종' 국민 가게로 거듭난 다이소<br /><br />뉴스 속 주인공을 만나보는, 입니다.<br /><br />천 원 숍으로 잘 알려진 균일가 생활용품점 다이소가 일본계라는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, 한국 토종 기업으로 새롭게 태어났습니다.<br /><br />다이소가 한국 토종업체로 거듭난 배경은 무엇일까요?<br /><br />오늘의 뉴스메이커에서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다이소의 출발은, 순수한 국내회사였습니다.<br /><br />샐러리맨 출신의 박정부 대표가 1992년 아성산업을 설립하면서 시작됐는데요.<br /><br />이후 1997년에는 서울 천호동에 아스코이븐 프라자라는 가게를 열며 생활용품 판매 사업에 본격 뛰어들었습니다.<br /><br />2001년에는 일본 100엔샵을 운영하는 다이소산교로부터 약 38억원을 투자 받게 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때 사명도 함께 아성다이소로 변경한 게, 일본계 업체라는 오해의 시초가 되고 말았습니다.<br /><br />박정부 회장이 최대주주인 아성에이치엠피가 50%가 넘는 지분을 보유했지만 일본 기업이 30% 이상의 지분을 보유하게 된데다 대창의 일본식 발음인 다이소를 그대로 쓰면서 일본계 업체라는 인식이 강해졌는데요.<br /><br />때문에 다이소는 일본상품 불매운동이 벌어질 때마다 일본 다이소와는 지분 투자 외에 관계가 없다며 해명에 진땀을 흘려야 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·간접적인 타격을 입어왔는데요.<br /><br />일본기업 보유 지분 5천억 매입 완전 토종기업으로 거듭 하지만 이제!<br /><br />완전한 토종 한국 기업으로 거듭났습니다.<br /><br />아성다이소는 한국 토종 국민 가게로 거듭나기 위해 일본 기업이 갖고 있던 지분 전량을 매입하기로 결정했는데요.<br /><br />최근 아성다이소가 급성장하며 일본 다이소산교가 경영 참여와 배당금 확대를 요구하였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그 규모가 5천억 원에 이를 정도지만 일본 리스크를 완전히 해소하겠다는 경영진의 의지 또한 반영됐습니다.<br /><br />이러한 자신감엔 눈에 띄는 매출 상승이 한몫했는데요.<br /><br />고물가 시대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무려 3조 원에 가까운 매출을 기록한 다이소!<br /><br />2019년 처음으로 매출 2조 원 시대를 연데 이어 이대로면 연간 매출 4조 원 달성까지 가능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다이소는 앞으로 토종 기업임을 내세워 시장 점유율 확대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그동안 주력으로 삼은 가성비 제품들을 확대해 오프라인 사업 강화는 물론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투자도 본격적으로 키울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일본계 업체라는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새 출발선 앞에 선 다이소!<br /><br />토종 한국 기업! 국민 가게로 거듭난 다이소는 앞으로 어떤 신화를 쓰게 될까요?<br /><br />지금까지 '뉴스메이커'였습니다.<br /><br />#박정부 #아성산업 #다이소 #토종기업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